Link delete
 
목공사의 견적
한국인…
19-01-10 10:17
1,888
 
실내공사에서 가장 공사기간이 많이 걸리는 공정으로 그 인건비에서부터

자재비또한 산정하는데 기술이 요구되며 각 인테리어별로 절대적인 영향을

끼칠정도로 배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는 지금껏 공사하면서 나온 데이터로서 대체로 간단히 견적을 낼수

있는 나름대로의 기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1,견적내는 방식으로는 m2으로 푸는 최근의 방법과 각자재의 장수 및

개수,평수,인건비 몇인으로 푸는 재래식 방법이 있다. 이러한 원인은 기존의

평수단위 방법으로 견적을 내니까 기업체 에서 공사를 맡기면서 공사감리원

이 계약된 공사물량과 현장에 반입된 물량을 비교하게 되었는데 차이가 많

이 나서 공사비를 깍아 주겠다는 식과 앞으로 차후 더욱 입찰에서 저가로

입찰 붙이겠다는 식의 문제가 생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m2단위의 면적 단위위주의 일위대가가 만들어 진 것이다.이것은 모두에게

문제가 있는데 첫째로 발주자는 설계비를 제대로 인증해�주지않고 공사비만

깍아 계약할려고 하고 건축에서 대량 자재를 구입할경우�와 인테리어에서

소규모로 자재를 구입할 경우의 자재비 차이를 인정하지�못한 결과이며

둘째로 인테리어 업자들이 문분별 입찰에 참가하여 업체들간

의 경쟁으로 최저가 입찰에서 오는 이익금을 만외할려는 발상인지라 질보다

는 양위주의 공사로 회사를 운영하는 병폐로 제갈길을 못찾는 경우라 하겠

다. 목공사에는 뼈대또는 골조부분과 치장,장식부분으로 나누는데 골조는 강

도나 버팀자체가 강하여야 하므로 주로 라왕을 사용하며 장식 및 가구용

으로는 미송류를 사용한다.

목공사는 작업하기전에 먹매김작업부터 실시하는데 먹메김이 잘못되면 전

체도면 수정내지는 재시공이 불가피하므로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담당자 입

회하에서 실시한다. 비교적 실내공사는 천장높이가 낮으므로 수평호스로 많

이하는데 예외로 실내 높이가 높으면 수평레벨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체

로 실내높이를 줄자로 재어보면 높이가 일정치 않은데 그 이유는 콘크리트

를 사용할 때 목재 거푸집으로 사용한 원인도 되겠지만 바닥에 미장을 할

경우 여러번 수평을 고려하여 실시하지않고 한번에 골라주는 방법으로 공사

비절감을 꾀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수평을 볼 때 주로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수평을 잡는 것이 아니라 천정에서부터 수평을 계산여

먹매김을 실시한다.

현장내에 가장 부피가 큰 목자재는 일의 규모를 보아?일단위내지는 일주

일 또는 10일간격으로 목자재를 현장에 들여오는데 각목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합판류들은 반드시 물기가 없는 장소에 또 보관해야 한다. 보관

장소는 일의 순서에 맞추어 한쪽모서리에 두며 규모가 큰현장에는 여러업체

가 함께 일하므로 서로의 자제가 섞일 우려가 있으므로 각자재에 나름대로

의 표기를 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필요시 지게차를 부를 수도 있고 짐꾼을

부르기도 한다. 현장의 실내높이가 높다면 사다리를 사용하는데 보통 3M이

내에는 목사다리나 간이철재사다리등을 이용하나 3M가 넘는다면 조립철재

사다리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2,목공사에 사용하는 자재로 각목(TIMBER)은� 30 x 30을 가장많이 사용하

는데 기둥을 감싸거나� 골조바탕면이나 내림천장을 할 때나 가구뼈대에 사

용되며 합판은 3mm,5mm는 기둥을 감싸거나 본드기를 할 때 사용하며

6mm는 각목에 붙이는 용이나 가구뼈대용이며 9mm, 12mm는 가구마감 및

상판용, 바닥용으로 사용된다. 이후는 각목없이 가구를 만드거나 구조 및 장

식으로 사용한다. M.D.F는 장식마감용으로 사용하는데 합판과의 차이점이라

면 락카칠을 할 때 합판은 그표면이 매끈하지 못하고 도장재를 흡수하는 성

질이 있어 빠대(핸디코트)를 전면에 바른후 페이프작업을 하여 면울 고르

고 락카칠을 하는 방면 M.D.F는 바로 락카칠을 할수 있다. 다만 물기가

.M.D.F면에 묻어 있다든지하면 차후 비틀어지는 성질이 있어� 사용상에 주

의가 필요하다. M.D.F는 6MM단위부터 생산되는 데 6MM, 9MM는 마감장

식재로 여기에 도장을 하거나 무늬목을발라서 코팅을 하고 12MM이후부터

는 주로 가구용으로 사용한다. 집성목재(glue-laminated timber)는 접착제로

서 판재와 각재를 집성한것인데 현재 4'x8'로 생산되며 두께는 15mm,

18mm두종류가 나오는데 주로 현장에서 가구를 만들 때 사용하며 기존의

M.D.F보다 경량이라 가구용으로는 최상이며 단단하여 실내마감용으로도 사

용된다.

3,젿邃?다양한 자료는 디자인재료학에서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무늬목만

다루기로 하겠다. 무늬목을 시공하자면 바탕면을 깨끗이 닦고 무늬목을 물

에 충분이 담구어 어느정도 물기을 쓸고나서 바탕면에 목공본드를 로라로서

바른 다음 무늬목을 붙이고 이후 걸레질을 하여 배여나온 본드를 닦은다음

다림이로 눌어 압착한다. 그후 투명락카나 스테인칠, 우레탄락카등을 뿌리는

식으로 마감하여 무늬목 표면을 보호한다. 끝으로 견적상의 물량산출방법은

100평이내를 기준으로하면 천정은 소요면적에 합판 면적 2.88m2(합판은� 4'

x8'로서면적으로 환산한 값)을 나누면 합판장수가 나오는데 여기에 천정을

시공한다

면 각목은 합판장수에 곱하기 5.2을 곱해 각재의 물량을 산출한다.� 더불어

벽은 합판 장수에 4.5를 곱하면 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시공하면서 나온 자

료를 가지고 계산한 것으로 아마 거의 실행물량이 될것으로 본다.

4,졛飢?석고보드는 1.62m2(석고보드는 3' x 6'로서 면적으로 환산한 값) 으

로 합판에 덧붙인다면 합판장수 곱하기 2.88을 하고 나누기 석고보드면적

1.62m2을 하면 석고보드면적이 나온다. 그외 목재류등은 m2단위나 평으로

산출하며 원목류는 일반적인 교과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인건비산정 문제는 합판, M.D.F, 집성목재등은 나누기 10을 하여 인건비

머리수를 산정하여 머리수 곱하기 목공1인 인건비로 산출하고 무늬목은 일

반적인 일로 볼 때 1인 2.2평을 기준으로� 목공인건비로 산출하고 어려운

작업시 1인 1평으로 산정한다. 여기서는 철물 및 본드비는 포함되어 있으므

로 위의 사항만으로 산출이 가능 할것으로 본다.